소개
출생 : 984년 ~ 1068년 10월 13일
고려 문하시중 직책을 지낸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입니다. 본관은 해주이며, 아전 최온의 아들입니다. 자는 호연, 호는 성재, 월포, 방회재입니다. 목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은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고려에 유학 열풍을 일으켰습니다.
1013년 황주량 등과 함께 칠대실록의 편수작업에 수찬관으로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문종 즉위 후 법령을 개정하여 고려 멸망 시까지 고려의 국법의 기틀을 완성시킵니다. 총 9개의 서재로 이뤄진 구재학당을 세움으로써 최초의 사립학교 설립자가 되었습니다. 시중으로 도병마사를 겸하게 되자 서북 주, 진의 공역의 금지를 청하여 시행하게 하였으며, 동여진 등을 비롯한 야인들에 대한 대비책을 건의하였습니다. 은퇴 후에는 학당인 구재학당에서 유학자들을 양성했는데 이후 개경의 사학십이도의 모범이 되었습니다. 별칭은 해동공자입니다.
1050년 추충찬도공신, 1053년에는 추충찬도협모동덕치리공신, 1055년에는 추충찬도좌리동덕홍문의유보정강제공신에 특별 서훈되었고, 시호는 문헌입니다.
생애
아버지 최온은 해주의 주리였으며, 사후에 아들 최충이 귀해지자 태자태보를 추증받았습니다. 최충은 984년 서해도 해주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경상도 금성을 거쳐 개경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습니다. 호는 성재, 월포, 방회 등을 사용했고 자는 호연입니다. 1005년 과거에 장원급제하였고, 우습유에 올라 1013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소실된 역대의 문적을 재편수하는 국사수찬관을 겸하였습니다.
현종 때 습유보궐, 우습유, 한림학사, 간의대부 등을 지내고, 덕종 초에 우산기상시, 동지 중추원사, 형부 상서, 중추원사 등을 지냈습니다. 정종 때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판서북로 병마사, 문하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조정의 주요 관직을 두루 거쳤고 1013년 국사수찬관으로 태조에서 목종까지의 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고 합니다. 두 차례에 걸쳐 변방에 병마사로도 나갔습니다.
식목도 감사로 재직할 당시 내사시랑 왕총지와 함께 왕에게 과거 급제 문제를 진언하였습니다. 최충의 전언 내용은 "과거에 급제한 이진석은 씨족을 등록하는 절차를 밟지 않았으니 관리로 임용될 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였고, 최충의 진언은 당시 문하시랑으로 있던 김원충과 판어사 김정준에 의해 논박합니다. '그의 씨족 등록이 안된 것은 그의 조부나 부친의 과실이지 본인의 죄는 아니며 또한 그가 다년간 글공부에 노력한 공으로 과거에 급제하는 영예를 얻었으니 그 스스로에게는 어떤 허물도 없습니다. 그러니 관직을 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라며 논박했던 것이었습니다. 문종은 이 두 의견 중에서 후자를 택했습니다. 이는 문종이 최충과는 달리 가끔 예외를 인정하고 인품과 실력을 중시하는 성격이었기 때문입니다.
1013년 황주량 등과 함께 칠대실록의 편수작업에 수찬관으로 참여하였고, 그 후 한림학사, 예부시랑, 간의대부, 형부상서 등을 역임하고 문종 즉위 후에는 평장사로 있다가 곧 문하시중에 임명되었습니다.
1033년 우산기상시를 거쳐 동지중추원사가 되어 설원 육정육사의 글과 한나라의 자사6조의 글을 참고하여, 이 글들을 각 관청에 붙이게 하여 고사를 참고하여 좋은 정치를 하는 데 힘을 기울였습니다. 그 뒤 형부상서 중추원사로 내직으로 돌아왔으며 정종초에는 지공거에 임명되어 과거 시험을 주관하였습니다. 1037년 참지정사 수국사로 현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또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판서북로병마사로 임명되어 변경에 나가 영원진, 평로진 등 변경에 진을 구축하는 등 북방 방비에도 힘썼습니다. 다시 변경에서 돌아와 내사시랑평장사에 올랐고, 수사도 수국사가 된 뒤 상주국의 훈위를 받고 곧 문하시랑평장사가 되었습니다.
1047년에 문종이 즉위한 후, 문하시중이 된 최충은 율령서산을 정하고 수태보가 더해졌습니다. 문하시중으로 임명된 최충은 형법 개정에 착수하였고, 법률에 대한 명령을 내리며 형법의 분명한 규정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현행 법률의 부정확성을 인식하고 최제안과 함께 법제도를 개혁하였습니다.
또한, 1050년에는 동여진의 변경 침입에 대한 강력한 정책을 주장하고, 여진족 포로의 석방을 건의하여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최충은 또한 나이가 많아 퇴직을 청하자 문종은 최충을 극구로 만류하였고, 최충은 퇴임 후에도 국가에 조언을 제공하며 여생을 보냈다고 합니다. 그는 구재학당을 설립하고 유학을 강의함으로써 사학 열풍을 일으키며, 최충의 사후에도 그의 영향력이 계속되었습니다. 최충은 1068년에 85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아들들도 유명한 학자로 활동하였습니다.은 형법 개정에 착수하였고, 법률에 대한 명령을 내리며 형법의 분명한 규정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현행 법률의 부정확성을 인식하고 최제안과 함께 법제도를 개혁하였습니다.
또한, 1050년에는 동여진의 변경 침입에 대한 강력한 정책을 주장하고, 여진족 포로의 석방을 건의하여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최충은 또한 나이가 많아 퇴직을 청하자 문종은 최충을 극구로 만류하였고, 최충은 퇴임 후에도 국가에 조언을 제공하며 여생을 보냈다고 합니다. 그는 구재학당을 설립하고 유학을 강의함으로써 사학 열풍을 일으키며, 최충의 사후에도 그의 영향력이 계속되었습니다. 최충은 1068년에 85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아들들도 유명한 학자로 활동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