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출생 : 1316년 ~ 1388년
최영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입니다. 본관은 동주, 아버지는 최원직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입니다. 시호는 무민,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습니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올랐습니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에 책록되었습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습니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습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습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습니다. 사위는 사공민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입니다.
생애
최영은 고려 후기의 학자로서 집현전태학사를 지낸 최유청의 5대손이며 최원직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16세 때 최영은 사헌부 간관을 지냈던 그의 부친 최원직으로부터 “너는 마땅히 황금보기를 돌 같이 하라.”라는 유훈을 받은 후 최영은 이를 그대로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고 실천하였습니다. 그는 어려서부터 기골이 장대하고 풍채가 늠름했으며 용력이 출중하여 문신 가문에 태어났으면서도 병서를 읽고 무술을 익히어 무장의 길을 걸었습니다. 처음에는 무인으로서 양광도 도순문사의 휘하에 있으면서 여러 번 왜구를 토벌하여 공을 세웠으며, 우달치에 임명됩니다. 1352년 음력 9월에 조일신의 역모를 안우, 최원 등과 함께 진압하여 호군으로서 출세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고려는 80년 넘게 원나라의 지배를 받고 있었습니다. 1354년 중국 산동 지역에서 장사성 등의 홍건적이 원 조정에 반기를 들자 원은 고려에 이들을 토벌하기 위한 조정군을 요청했는데, 이때 최영은 대호군 대장군으로서 류탁, 염제신 등과 함께 병력 2천 명과 함께 출정했습니다. 이때 그의 나이 39세였고 원에서 대기 중이던 고려인 2만 명을 합류시켜 지휘하였습니다.
1355년에 원정에서 돌아온 최영은 왕명으로 예전 원에게 침식된 동북면의 쌍성총관부를 수복하고, 서쪽으로 압록강을 넘어 요양에 이르는 실지 회복에 나섰습니다. 쌍성총관부 전투에서 등장하는 자가 바로 이성계와 그의 아버지 이자춘으로 최영은 이 두 사람의 도움으로 쌍성총관부를 되찾을 수 있었고, 두 사람은 이후 고려의 역사에 등장하게 됩니다. 원나라도 가만히 있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홍건적과 제위 계승을 둘러싸고 내우외환을 겪으면서도 자신들에게 등을 돌린 공민왕을 밀어내고 덕흥군을 왕으로 세우고자, 기황후의 지원을 받은 최유가 군사 1만을 이끌고 1364년에 고려로 쳐들어왔습니다. 그러나 이 침략도 최영이 처리하였습니다. 하지만 최영과 고려가 맞서 싸워야 했던 적은 원나라만이 아니었습니다. 북쪽 지방에서는 홍건적이, 남쪽 지방에는 왜구가 창궐하였다고 합니다.
공민왕 7년에는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가 되어 오예포에 침입한 왜구 4백여 척을 격파하고, 1365년에는 왜구가 교동, 강화를 노략질하자 동서강도지휘사로 왜구를 대적, 경계하였습니다. 그러나 공민왕 14년 3월 11일 창릉에 침입한 왜구가 세조의 어진을 훔쳐가는 사건이 벌어지고, 직후 동서강도지휘사는 김속명으로 교체되었으며, 이때 세조의 어진을 왜구에게 도난당한 것이 빌미가 되어 신돈에 의해 계림부윤에 좌천되었으나, 1371년에 신돈이 처형되고 그 일파가 몰락하자 곧 소환되어 문하찬성사가 되었습니다. 그 후로도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의 난을 진압하였으며, 1376년에는 왜구가 삼남지방을 휩쓸고 원수 박원계가 참패당하자, 최영은 육군을 이끌고 논산시 연산면의 개태사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에 피봉됩니다. 이 뒤부터 왜구가 최영을 백수 최만호라 하여 몹시 무서워하게 되었다고 전합니다. 1377년 서강에 쳐들어온 왜군을 격퇴한 뒤, 1378년에는 왜구가 승천부에 쳐들어와서 개경까지 위태하여 한때 그 형세가 자못 불리하였으나, 이성계, 양백연 등과 힘을 합하여 적을 쳐서 섬멸시키고 안사공신의 호를 받았습니다. 1380년 왜구의 침략으로 도읍을 철원으로 옮기려 하자 최영은 해도도통사로서 왜구 때문에 수도를 천도할 수 없다며 계획을 반대하여 철회시켰습니다.
우왕이 그의 서녀 영비 최 씨를 자신의 비로 삼겠다고 강요하자, 최영은 스스로 죽음을 택하겠다고 거절하였으나 우왕이 끝내 요구하므로 마지못해 승락합니다. 1381년 영삼사사 등을 지내고 벼슬을 사퇴하였습니다. 우왕 13년 조정에서 전횡을 일삼던 염흥방의 종 이광이 조반의 땅을 빼앗자 조반은 이광을 죽입니다. 그리고 이를 조정에 보고하였는데 염흥방은 오히려 조반이 난을 일으키려 한다고 허위보고를 하였습니다. 1388년 정월 초하루 염흥방은 우왕에게 강권하여 조반을 수배하였습니다. 체포된 조반은 순군옥에서 심문을 받았는데,"6, 7 명의 탐욕스러운 재상들이 사방에 종을 놓아 남의 노비와 토지를 빼앗고 백성들을 해치며 학대하니 이들이 큰 도적이다. 지금 이광을 벤 것은 오직 국가를 돕고 백성을 해치는 도적을 제거하려 한 것인데, 어찌 반란을 꾀한다고 하느냐.”라고 항변하였습니다. 그러나 염흥방은 고문을 통해 기어코 반역 사건으로 몰려했습니다. 염흥방은 젊어서 학문에 뛰어나 여러 번 동지공거가 되었고 개혁을 주창하는 인물이었으나 이인임에게 항거하다 귀양을 다녀온 이후 권문세도가와 친분을 쌓아 탐욕에 찬 간신이 되어 있었습니다. 우왕은 전횡을 일삼는 것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하여 최영과 이성계에 명하여 병력을 동원, 왕궁을 숙위하게 하고 삼사좌사 염흥방을 비롯하여 영삼사사 임견미, 찬성사 도길부 체포령을 내립니다. 우왕은 인사 발령을 하여 최영을 문하시중, 이성계를 수문하시중, 이색을 판삼사사, 우현보, 윤진, 안종원을 문하찬성사, 문달한, 송광미, 안소을 문하평리, 성석린을 정당문학, 왕흥을 지문하사, 인원보를 판밀직사사로 임명하였습니다.
오랫동안 전장에서 생활하며 왜구와 야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최영은 공로와 경륜과 함께 염흥방의 무고로 발생된 허위 조반의 난을 기회로 1388년에 문하시중의 지위까지 다시 오릅니다. 그러나 1388년 2월부터 명나라와의 관계가 원활하지 못하던 중, 철령 이북의 땅을 명나라가 차지하겠다는 이른바 철령위 문제를 계기로 최영은 요동 정벌을 주장, 그 계획이 서자 그는 팔도 도통사가 되어 결국 4월 요동정벌군을 이끌고 이성계, 조민수를 부장으로 삼아 우왕과 함께 평양에까지 출진하게 됩니다. 1388년 2월 명나라는 철령 이북의 땅이 원래 원나라의 쌍성총관부가 있던 지역으로 그곳을 명나라가 다스려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워 철령위를 설치하고 관리를 파견하겠다는 통고를 고려에 보내왔습니다. 반발한 최영은 4월, 우왕과 함께 요동을 공격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또한 이자송이 요동정벌의 불가함을 최영에게 따지자 이자송을 임견미 일당으로 몬 후 곤장 107대를 때린 후 전라도 내상으로 유배하기로 하였다가 얼마 뒤에 죽였습니다. 그리고 이성계는 요동 정벌을 반대하면서 그 이유로 4가지를 들었습니다.
1. 소로서 대를 거역할 수는 없다.
2. 농사철에 군대를 동원할 수는 없다.
3. 모든 군사가 북쪽으로 몰려간 틈에 왜구가 쳐들어올 소지가 있다.
4. 여름이라 비가 자주 내리므로 활의 아교가 녹아 쓰기 어렵고 군사들은 전염병에 시달린다.
이것이 이른바 '4불가론'입니다. 그러나 요동정벌은 단행되었고, 이성계 등은 대국을 건드릴 수 없다 하며 위화도에서 회군을 단행하였습니다. 5월 선봉대가 압록강 어귀의 작은 섬 위화도에 도착하였습니다. 최영은 압록강을 건너 진격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이성계는 이에 불복, 군대를 돌려 거꾸로 수도 개경으로 향합니다. 이것이 쿠데타의 시작이었습니다. 최영이 각별히 신임하여 자신의 가보인 보검까지 하사했던 좌군도통사 조민수가 위화도에서 우군도통사 이성계의 설득으로 회군에 협력하기로 결정, 말머리를 돌려 개경으로 돌아왔고, 당시 개경에 있던 정도전, 조준, 정몽주는 이성계에 대한 반감, 반대 여론을 무마시켰습니다. 최영은 크게 노했지만 이성계의 편으로 돌아선 장수들에 의해 감금되고,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를 맞아 싸우다가 이성계 일파에 붙잡혀 이내 투옥, 경기도 고봉에 유배되었다가 뒤에 개경으로 소환된 뒤 죽임 당하였습니다. 이때 그의 나이 향년 73세. 이때 자신에게 탐욕이 있었다면 무덤에 풀이 자랄 것이고, 결백하다면 무덤에 풀이 자라지 않을 것이라 유언하고 최후를 맞이하였습니다. 실제로 그의 무덤에 풀이 자라지 않아서, 이에 적분이라 하였으며, 최근에는 유가족이 풀을 심어 놓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