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출생 : 미상
경상도 동래현(현 부산광역시)의 기생의 아들로 천한 신분이었지만 뛰어난 과학적 재능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아 물 만난 고기처럼 자신의 재능을 활짝 펼치고 신분의 벽을 넘어 정 3품의 지위까지 오른 과학자. 상의원별자에 임명되어 궁중기술자로 활동하며 정 3품의 지위까지 올랐으며 천문관측기계인 혼천의, 물시계인 자격루와 옥루 등을 제작했습니다.
생애
세종실록에 따르면 장영실의 아버지 장성휘는 원나라 유민으로 소주, 항주 출신이고, 어머니는 조선 동래현 기생이었습니다. 장영실은 기술력이 뛰어나 세종 임금이 필히 아끼었다고 설명합니다. 생몰 연대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아산 장 씨 종친회의 주장에 따르면 대략 1385년경에서 1390년경입니다. 또한 장성휘는 시조 장서의 8 세손으로 고려 말 전서였으며 어머니는 동래현 관기로,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혼란기에 어머니와 장영실은 조선 관노로 전락하였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장영실의 영자는 종친회에서 주장하는 부친 장성휘의 성자 항렬의 다음 세대의 항렬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할 점입니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대로 단순히 중국에서 건너온 사람의 자제라면 고대 중국식으로 외자로 이름을 짓고 자나 호를 짓거나, 아니면 평범한 이름으로 짓지, 당시의 아산 장 씨 집안의 항렬에 맞게 짓고 족보에 올린다는 것은 유교적 정서에서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에게는 여동생이 한 명 있었다고 하며 사촌여동생이 당대의 천문학자 김담에게 시집갔다고 전해집니다. 장영실은 어머니의 신분이 천민이라서 그 신분을 이어받아 천민이었습니다. 장영실은 본래 동래현의 관노이나 발명가로서의 훌륭한 재주를 태종이 인정하여 발탁하였습니다. 세종은 실용주의자로서 장영실의 적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부왕의 뒤를 이어 중용하였습니다. 세종은 장영실을 1421년 윤사웅, 최천구 등과 함께 중국에 보내어 천문기기의 모양을 배워오도록 했고, 귀국 후 장영실 나이 약 34세 때인 1423년에 천문기기를 제작한 공을 인정받아 면천되었고 다시 대신들의 의논을 거쳐 종 5품 상의원 별좌에 임명되었습니다. 1424년 5월, 임금은 그를 정 5품 행사직으로 승진시켰고 갱점지기를 만들라고 명했습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첫 물시계였습니다. 그 후, 세종의 명에 따라 1432년부터 1438년까지 이천의 책임하에 천문 기구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그 과정에 수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물시계인 자격루와 옥루를 만들어 세종으로부터 총애를 받았습니다. 이때 제작된 옥루는 해가 뜨고 지는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어 시간, 계절을 알 수 있고 천체의 시간, 움직임도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 흠경각을 새로 지어 그 안에 설치했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천문 기구에는 천문 관측을 위한 기본 기기인 대간의, 소간의를 비롯하여 휴대용 해시계인 현주일구, 천평일구, 방향을 가리키는 정남일구, 혜정교와 종묘 앞에도 설치한 공중시계인 앙부일구, 밤낮으로 시간을 알리는 일성정시의, 규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으로 1433년에는 정 4품 호군의 관직을 더합니다. 장영실은 대단한 업적들을 남겼습니다.
1434년에는 이천이 총책임자였던, 구리로 만든 금속활자인 갑인자의 주조에 참여하였습니다. 갑인자는 약 20여만 자에 달하며 하루에 40여 장을 찍어도 자본이 흐트러지지 않았고 판본이 깨끗하였다고 합니다. 천문기구 제작이 끝난 후에도 장영실은 금속제련 전문가로 관료생활을 지고 있던 중 세종대왕의 어가가 갑자기 부서지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조정에서는 이를 장영실의 임금에 대한 불경죄로 간주하고 의금부에서 책임을 물어 곤장 80대와 삭탈관직을 구형했으나, 임금이 형벌을 2등을 감해 주었다고 합니다. 장영실은 이후 역사에서 자취가 완전히 사라졌으며 후세에 그의 공교한 솜씨가 간혹 회자되었다고 합니다.
앙부일구 자격루 옥루
앙부일구는 1434년 조선 세종대왕 16년 이후로 제작, 사용된 해시계입니다. 과학, 역사,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앙부일구는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초기의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이때 제작된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아 18세기에 제작된 것을 보물로 지정하였습니다. 보물로 지정된 휴대용 앙부일구는 주머니에 넣을 수 있을 만큼 작은 크기로 강건이 제작한 것입니다.
자격루는 조선 세종 때의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입니다. 장영실과 김조 등이 2년 간 제작하여 세종 16년 1434년 8월 5일 완성, 발표하였습니다. 시간이 지나 중종 때 자격루가 낡으며 자격루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중종 때의 자격루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일부가 보존되어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29호로 지정됩니다.
옥루는 조선시대의 천상시계이며 자동 물시계의 하나입니다. 장영실이 1438년 1월에 완성하여 경복궁 천추전 서쪽에 흠경각을 지어 설치하였습니다.